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다제내성균 감염증: 무엇을 알아야 할까?

by allwayshealthyday 2024. 11. 19.
SMALL

다제내성균 감염증: 무엇을 알아야 할까?

다제내성균 감염증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증으로,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공중보건에 큰 위협을 끼치고 있습니다. 항생제의 남용오용으로 인해 내성균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, 이러한 내성균에 감염되면 치료 옵션이 제한되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다제내성균의 정의, 원인, 감염 경로, 그리고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다제내성균이란?

다제내성균(Multidrug-Resistant Organisms, MDRO)은 세 가지 이상의 항생제 계열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의미합니다. 이러한 균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습니다.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으로는 다음과 같은 종류들이 있습니다:

  •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(MRSA): 흔히 MRSA라고 불리며, 메티실린을 포함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입니다. 주로 피부 감염을 일으키며, 심한 경우 폐렴이나 혈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  •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(VRE):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, 주로 요로 감염이나 혈류 감염을 유발합니다.
  •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(CRE): 카바페넴 계열의 강력한 항생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세균으로, 장내 감염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내성균은 항생제로 인한 치료 실패 가능성이 높아져 환자의 건강을 위협하게 됩니다.

다제내성균의 원인과 감염 경로

1. 항생제의 남용과 오용

다제내성균의 가장 큰 원인은 항생제의 남용과 오용입니다.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. 특히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지만, 많은 사람들이 항생제를 요구하거나 의사들이 과도하게 처방하면서 내성균이 생겨나고 있습니다.

2. 감염 경로

다제내성균은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:

  • 의료기관 내 감염: 병원이나 요양시설에서 내성균에 감염된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. 의료기관 내에서는 의료기기의료진의 손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.
  • 식품을 통한 감염: 가축 사육 과정에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면 동물의 장내 세균이 내성균으로 변할 수 있으며, 부적절하게 조리된 고기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.
  • 환경을 통한 감염: 내성균에 오염된 이나 토양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손 씻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이러한 환경적 경로를 통해 감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SMALL

다제내성균 감염의 위험성

다제내성균에 감염되면 다음과 같은 위험이 따릅니다:

  • 치료 실패: 대부분의 항생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않으므로 감염 치료가 매우 어렵습니다. 이는 감염이 장기화되고,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심각하게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합병증 발생: 감염이 장기화되면 폐렴, 요로 감염,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  • 공중보건 위협: 다제내성균은 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지역사회공중보건 전체에 큰 위협이 됩니다. 내성균의 확산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지 않는 한 더 많은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.

다제내성균의 예방 방법

다제내성균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:

1.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

  • 의사의 처방 없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 항생제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, 처방된 용량과 기간을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감기나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다는 점을 이해하고,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지 않도록 합니다.

2.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

  • 비누와 물로 손을 30초 이상 씻기: 특히 외출 후, 화장실 사용 후, 음식 조리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.
  • 의료기관 방문 시 주의: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는 손 소독제를 사용하고, 의료진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3.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

  • 의료진은 환자 접촉 전후로 손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, 개인 보호 장비(PPE)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합니다.
  • 의료기기 사용 시 멸균 처리를 철저히 하여 내성균 전파를 방지합니다.

4. 식품 위생 관리

  • 고기를 충분히 익혀서 조리: 특히 가축에서 유래한 고기는 내성균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청결한 환경에서 식품 관리: 조리 도구와 주방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교차 오염을 방지합니다.

마무리하며

다제내성균 감염증은 항생제의 남용과 오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입니다.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과 개인 위생 철저,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, 그리고 식품 위생 관리를 통해 다제내성균의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러한 노력이 쌓여야만 우리는 내성균에 대한 위협에서 벗어나 건강한 사회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반응형